[한국경제TV 김종학 기자]<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상을 뛰어넘은 상호 관세 부과 방안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무역 질서에 지각변동이 예상되고 있습니다.뉴욕 연결합니다. 김종학 특파원, 이번 관세가 결국 경기 둔화 공포로 이어지는 것 아닌지 우려스럽습니다. 뉴욕 야간 시장에서 이미 충격이 나타나고 있죠?<기자> 미국 나스닥100 선물 지수는 현지시간 오후 4시 25분 관세안 발표 직후 급락하기 시작해 약 3%대 낙폭을 기록 중이고, S&P500 선물과 다우 선물도 1~2% 낙폭을 그리고 있습니다.중국, 대만, 한국 등 아시아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애플은 시간외에서 6% 넘게 내렸고, 제너럴모터스, 나이키 등도 5% 안팎 하락하는 등 미국 기업들의 성장에 대한 우려도 확산하고 있습니다.월가 대형 헤지펀드들도 이번 관세를 전후해 상당한 헤지를 단행했지만, 시장이 예상보다 큰 변동성을 보이면서 손실이 누적되고 있습니다. 반면 국제 금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넘어섰고, 전 세계 자산의 기준이 되는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야간 거래에서 12.9bp 하락해 4%선을 위협받고 있습니다.세계적인 신용평가사 피치 레이팅스(올루 소놀라, 미국 경제 연구책임)는 "미국 경제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게임 체인저로 많은 국가가 경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거 우려했습니다.트럼프 행정부의 정책들이 일한 경기 둔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 다른 하나는 관세 부과에 앞서 미 자국 내 수입을 늘리는, 즉 달러 수요가 일시에 늘어나면서 금리를 끌어내리는 복합적 요인이 나타나고 있다는 겁니다.<앵커> 당초 전 세계 교역국에 20% 수준의 관세 이후에 협상을 기대하던 전망은 완전히 빗나갔습니다. 월가의 현재 분위기는 어떻습니까?<기자> 이번 관세 부과에 앞서 미 애틀랜타연방준비은행이 실시간으로 집계한 미국의 1분기 GDP 성장률 예상치가 마이너스 3.7%입니다.최근 회복세를 보여온 제조업 경기전망까지 꺾인 시점에 이번 고강도 관세안이 나온 겁니다.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약 48분간 연설을 통해 밝힌 최소 10%, 무역 불균형 국가엔 최대 90%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한 것을 두고 월스트리트는 큰 혼란에 빠졌습니다.앞서 스티브 마이런 미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이 지난해 제안안 ‘글로벌 무역시스템 재구축’이란 보고서 대로 관세 부과를 통한 경기 둔화 산불피해대책마련 당정협의회에 참석하는 권영세 비대위원장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왼쪽),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불피해대책마련 당정협의회에 입장하고 있다. 2025.4.3 kjhpress@yna.co.kr (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경북도는 도내 5개 시군에 막대한 피해를 낸 산불과 관련해 정부 추경에 1조원 규모의 예산 반영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산불 피해 복구와 지역경제 재건 및 활성화, 산불 대응체계 구축 등에 필요한 예산을 중점 요청할 방침이다.주요 내용을 보면 산불 피해지역 농기계 등 농업 특별지원 800억원, 지역경제 재건을 위한 경제 활성화 230억원, 산불 피해 하천 침수·범람 방지 등 하천 복구·예방정비 200억원 등이다.또 산불 대응체계 대전환을 위해 최신 대형·공중 고성능 산불 진화 장비 및 무인 진화 장비 도입 1천676억원, 대형 산불 진화차 도입 및 개인 산불 진화 장비 개선 등 산악지역 산불 진압 능력 강화 216억원, 초대형 산불 대비 예방·대응 체계 고도화 170억원, 문화유산 화재 예방 통합 패기지 지원 630억원이 정부 추경에 반영되도록 힘쓴다.도는 이재민들이 영구주택에 입주할 때까지 임시로 모듈러 주택을 1년간 제공하기 위해 모듈러 주택 1천동을 구입하는 데 필요한 700억원의 예산을 계속 정부에 요청하고 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날 국회 본관에서 열린 국민의힘·정부 산불피해대책마련 당정협의회에서 피해 상황을 공유하고 신속한 피해 복구를 위해 특별법 제정과 예산 지원에 관심과 협조를 요청했다.이 지사는 "사상 유례없는 피해 규모로 재난안전법 등 기존 법령과 지자체 재정력만으로 회복이 불가능하다"며 "피해의 신속 구제와 복구, 지역경제 재건을 위한 가칭 '초대형 산불 피해복구 및 지역재건을 위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와 함께 신속한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정부 추경에 확보할 사업을 설명하고 국회와 정부 차원의 지원을 건의했다. 산불 피해지역 정리 (영덕=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한 작업자가 3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에서 산불 피해가 난 주택을 중장비로 정리하고 있다. 2025.4.3 sds123@yna.co.kr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