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페이지하단 바로가기

중고장터

'인도 시인 R. 타고르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조회 0회 작성일 25-06-24 09:47

본문

'인도 시인 R. 타고르, 미술교육의 개척자 되다' (예술시대 제공)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라빈드라나드 타고르는 노벨 문학상 수상자, 인도의 위대한 시인, 철학자, 그리고 반식민주의 사상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가 타고르를 정말로 '다 알았다'고 말할 수 있을까.이 책은 이 물음에 정면으로 응답한다. 타고르라는 거인의 숨겨진 얼굴인 '예술교육의 실천가'로서의 타고르를 조명하는 획기적인 연구서다. 저자는 최은주 서울시립미술관 관장이다. 그는 시인의 모습이 아니라, 교육자이자 예술 사상가로서의 타고르를 조명한다.내용은 세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타고르의 교육철학, 인도 근대미술의 민족주의 흐름, 그리고 산티니케탄의 미술학교 칼라-바반(Kala-Bhavan)을 중심으로 그의 교육 실천이 인도 미술의 정체성과 국제화를 어떻게 동시에 추구했는지를 입체적으로 풀어낸다.이 책은 타고르가 단순히 시와 노래로 인도 민족주의에 응답한 것이 아니라 "예술이 민족적이면서도 동시에 국제적일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교육의 장을 직접 만들었다는 사실을 집중 조명한다. 자연 속에서, 모국어로, 예술로 사유하고 표현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들고자 했던 그의 이상은 오늘날의 교육자들에게도 깊은 영감을 준다.저자는 오랜 큐레이터 경험과 학술적 깊이를 바탕으로, 타고르의 교육 철학이 인도의 근대성과 충돌하고, 동시에 예술적 모더니즘을 열어가는 과정에서 어떠한 미학적·정치적 논쟁을 마주했는지를 섬세하게 짚어낸다. 또한 칼라-바반에서 활동한 세 명의 예술가인 난달랄 보세, 베노데베하리 무케르지, 람킨카르 바이지를 통해 타고르의 이상이 어떻게 구체화됐는지도 흥미롭게 펼쳐 보인다.이 책은 단순한 미술사 책이 아니다. 타고르를 통해 예술, 교육, 정치, 철학, 탈식민주의가 어떻게 하나의 서사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인문학적 성찰의 공간이다. 동시에, 오늘날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미술교육이 직면한 정체성과 세계화의 이슈도 짚어본다.△ 인도 시인 R. 타고르, 미술교육의 개척자 되다/ 최은주 글/ 예술시대/ 1만 8000원acenes@news1.kr 나일 농어 [플리커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성도현 기자 =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호수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담수호인 빅토리아 호수는 '동아프리카의 젖줄'로 통한다.이집트로 이어지는 나일강 상류 백나일의 수원인 빅토리아 호수는 한반도 면적의 3분의 1, 서울 면적의 113배에 달할 정도의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우간다, 탄자니아, 케냐 등 아프리카 3개국에 걸쳐 있다. 원래 반투어로 '호수'를 뜻하는 니안자로 불렸으나 1858년 영국 탐험가 존 해닝 스피크가 이 호수를 발견한 뒤 빅토리아 여왕을 기리기 위해 현재 이름을 붙였다.아프리카 대륙 최대의 어장으로 풍부한 수산자원을 보유해 인근 어민의 생계와 국가 경제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어업 관련 일에 종사하는 인구만 3천만명이 넘는다.어민들의 가장 큰 소득원은 호수에 서식하는 대표 어종 '나일 농어'(Nile Perch)다. 주로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등으로 수출돼 유럽인들의 식탁에 오른다. 빅토리아 호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나일 농어는 과거 영국이 식민지 시절 빅토리아 호수의 생태계를 파괴한 사례로 언급될 때 여러 가지 원인 중 하나로 등장한다.빅토리아 호수에는 열대어의 한 종류인 '시클리드'가 서식했다.1만5천년 전에 등장한 뒤 다양한 모습으로 진화해 1천500종으로 늘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빅토리아 호수에만 300종 이상이 있었다고 한다.그러나 아프리카가 영국의 식민지였던 1950년대 영국은 시클리드의 상업적 가치가 떨어진다고 판단해 대형 육식성 물고기인 나일 농어를 들여왔다.나일 농어는 몸길이 2m에 몸무게가 200kg이나 나가며 맛도 좋아 상업성이 있었다.당시 영국 내에서도 생태적인 이유로 찬반 논란이 있었으나 결과적으로는 찬성 의견이 많아 어린 나일 농어들이 빅토리아 호수에 대거 투입됐다. 빅토리아 호수 [유엔환경계획(UNEP)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호수 전역으로 퍼져나간 나일 농어가 시클리드를 잡아먹으면서 시클리드의 개체 수는 급감했다.초식성 시클리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