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페이지하단 바로가기

중고장터

경남 밀양의 금시당과 백곡재. 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조회 14회 작성일 25-04-03 13:42

본문

경남 밀양의 금시당과 백곡재. 밀양강의 굽이치는 물길을 그윽하게 내려다보는 자리에 있다. 금시당은 마당 끝에 있는 은행나무 노거수의 이파리가 온통 노랗게 물드는 가을도 좋지만, 한옥 처마 아래 200년 된 매화가 향을 뿜으며 그윽하게 꽃을 피우는 봄날의 정취도 그만이다. 밀양=글·사진 박경일 전임기자 parking@munhwa.com경남 밀양은 누구나 알지만, 거기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잘 모른다. 먼저 밀양을 대표하는 곳을 꼽아보자. 표충사, 영남루, 만어사, 위양지…. 여기다가 여름철이라면 피서객이 모이는 얼음골을, 가을에는 억새로 이름난 천황산과 재약산을 끼워 넣을 수 있겠다.밀양의 대표 명소라지만, 이름만 대면 누구나 알만큼 유명한 곳은 아니다. 여행 좀 다녀봤다는 이들도 이 중 절반쯤이나 알까. 밀양에는 압도적인 명소가 없다. 오해하지 마시길. 그렇다고 지역의 자산이 빈약한 건 절대로 아니다. 알려지지 않아서 그렇지 웬만큼 이름난 여행지보다 가진 게 훨씬 더 다양하고 많다. 꼭 봐야 하거나 들러야 할 대표명소가 없다는 건 대체로 약점이지만, 때로는 강점이 되기도 한다. 가장 큰 장점은 ‘선입견을 덧씌우지 않는다’는 것이다. 선입견 없는 여행은 자유롭다. 다들 가는 곳을 ‘나도 가는’ 식의 여행도 좋지만, 의무감 없는 이른바 ‘자기 주도 여행’이 필요한 때도 있다. 그럴 때 꺼내어 볼 수 있는 곳이 밀양이다. 정해준 코스를 그대로 따라가는 여행을 하지 않아도 되는 곳. 밀양 여행에서 만나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다.# 봄이라서 여기…밀양의 금시당밀양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정자와 서원, 고택과 재각이 곳곳에 있다. 깃든 얘기가 흥미진진한 곳도 있고, 안팎으로 경관이 빼어난 곳도 있다. 양수겸장. 경치와 이야기, 둘 다 갖춘 곳도 적잖다. 이만한 명소가 왜 아직 알려지지 않았는지 의아해질 만큼 근사한 곳들이다. 봄의 문턱을 넘어서면서 이즈음 고택 안팎에 매화며 벚꽃, 목련이 피어서 더 운치가 넘친다. 밀양에는 이런 곳들로 여정을 꽉 채울 수 있을 정도로 많다. 이야기의 맨 앞에 밀양강을 내려다보고 있는 ‘금시당 백곡재’를 끌어다 놓는다. 금시당과 백곡재는 각각의 국립환경과학원 전경. ⓒ국립환경과학원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한국환경한림원과 공동으로 4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2025 자동차 온실가스 전 과정평가 국제 학술토론회’를 개최한다.자동차 온실가스 전(全) 과정평가란 자동차에 사용한 원료 채취·가공부터 제조와 사용, 폐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평가하는 것을 말한다.토론회는 총 2부로 진행한다. 자동차 온실가스 전 과정평가에 대한 국내외 최신 연구 동향과 결과 등을 공유하고 향후 정책 방향과 관련 산업계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했다.1부에서는 미국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 조지 비이커 박사가 ‘2050년 도로·수송 분야 탈탄소 방법 및 정책’을 발표한다.이어서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교 하젬 엘토하미 연구원이 ‘전기차의 전 과정 평가를 위한 다양한 방법 및 사례’를, 유럽 자동차제조사협회(ACEA)의 에릭 포츠마 박사가 ‘유럽의 자동차 전 과정평가 규제 개발 동향’을 각각 소개한다.2부에서는 박수한 건국대학교 교수가 ‘자동차 전 과정평가 방법 개발 동향’을 정환수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가 ‘자동차 온실가스 규제 대응을 위한 중소부품사 지원사업’을 발표한다.허준혁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실장은 ‘국가 전 과정 목록 데이터베이스(LCI DB)의 필요성과 개발 계획’을 소개한다. 유무상 지엠테크니컬센터코리아 차장은 ‘자동차 산업계 표준 재료 데이터시스템(IMDS) 내 제품 탄소발자국 보고 기능 소개’를 설명한다.이 밖에도 강덕호 글렉 대표가 ‘운송에서 탄소배출량 산정 방법’, 이석원 한국품질재단 심사원이 ‘국제표준(ISO 14067) 요구사항 해설 및 검증 사례’를 각각 소개한다.또한 독일 엠에스지(MSG) 그룹 크라우스 니르슐 컨설턴트가 ‘탄소발자국 산정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인 카테나-엑스(Catena-X) 설명 및 사례’를 안내한다.한편, 유럽연합(EU)은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자동차 온실가스 전 과정평가 방법을 개발해 2026년 6월 1일부터 자동차 제작사가 자발적으로 배출량을 보고토록 하는 법안을 확정했다.유엔(UN) 산하 ‘국제 자동차 규제조화포럼(WP.29)’은 자동차 전 과정평가 전문가 작업반을 구성하여 올해 말 채택을 목표로 국제표준 평가 방법을 개발 중이다.한국도